맨위로가기

람세스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람세스 3세는 기원전 12세기 이집트 제20왕조의 파라오로, 1186년부터 1155년까지 통치했다. 그는 해양 민족과 리비아인들의 침략을 격퇴하며 이집트를 지켰으나, 재위 기간 동안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을 겪었다. 람세스 3세는 룩소르 신전과 카르나크 신전에 건축 사업을 벌였으며, 메디네트 하부 신전을 건설했다. 그는 하렘 음모로 암살당했고, 람세스 4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2세기 파라오 - 람세스 6세
    람세스 6세는 이집트 제20왕조의 파라오로, 람세스 3세의 아들이며 신왕국 시대의 마지막 위대한 파라오 중 한 명으로, 시나이 반도에서 유물이 발견되었고 가나안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했으며, 왕들의 계곡의 KV9 무덤에 매장되었다.
  • 이집트 제20왕조의 파라오 - 람세스 6세
    람세스 6세는 이집트 제20왕조의 파라오로, 람세스 3세의 아들이며 신왕국 시대의 마지막 위대한 파라오 중 한 명으로, 시나이 반도에서 유물이 발견되었고 가나안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했으며, 왕들의 계곡의 KV9 무덤에 매장되었다.
람세스 3세
기본 정보
카르나크의 콘수 신전의 성소에서 람세스 3세를 묘사한 부조
카르나크에 있는 콘수를 모시는 신전의 성역에 묘사된 람세스 3세의 부조
역할파라오
통치 기간기원전 1186년–1155년 (32년)
왕조제20왕조
선대 왕세트나크테
후대 왕람세스 4세
주석해당 없음
즉위명우세르마아트레 메리아문
Wsr-m3ˁt-Rˁ-mrj-Jmn
"라의 마아트는 강하며, 아문의 사랑을 받음"
탄생기원전 1217년경
사망기원전 1155년 (61-62세)
매장지KV11; 미라는 데ir 엘-바흐리 왕실 은닉처 (테베 네크로폴리스)에서 발견됨
기념물메디네트 하부
이름
호루스 이름카나크트 아아니수트
K3-nḫt-ˁ3-nsyt
"강력한 황소, 그의 통치권은 위대함"
네브티 이름웨르하부세드 미 타테넨
Wr-ḥˁb.w-sd-mj-T3-ṯnn타테넨처럼 헤브세드가 위대함"
황금 호루스 이름우세르렌풋 미 아툼
Wsr-rnp.wt-mj-Jtm
"황금 매, 아툼처럼 풍요로운 세월을 누림"
본명라메시수 헤카이우누
Rˁ msj sw ḥq3 Jwnw
"라가 그를 창조했으며, 헬리오폴리스의 통치자"
가족 관계
부친세트나크테
모친티이-메레네세
배우자티티, 이시스 타-헴제르트, 티예
자녀티티 소생:
헤르-케페셰프 (제20왕조)|아멘헤르케페셰프]]


이시스 타-헴제르트 소생:



티예 소생:




2. 이름

람세스(Ramses, Rameses로도 표기됨)의 두 가지 주요 이름은 wsr-mꜢʿt-rʿ–mry-ỉmn rʿ-ms-s–ḥḳꜢ-ỉwnw로 음역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우세르마아트레-메리아문 람세스-헤카이우누"(''Usermaatre-Meryamun Rameses-Heqaiunu'')로 표현되며, "의 마아트가 강력하다, 아문이 사랑하는 자, 라에게서 태어난 자, 헬리오폴리스의 통치자"를 의미한다.

3. 즉위 전

람세스 3세는 람세스 1세나 람세스 2세와는 혈연관계가 없었다. 그는 셋낙테와 티이-메레네세의 아들이었는데, 티이-메레네세는 자신의 이름을 카르투시에 새겼다. 셋낙테의 출신은 알려져 있지 않다. 그는 위기와 정치적 혼란의 시기에, 아마도 투오스레트로부터 왕위를 찬탈했을 것이며, 세티 2세, 셉타, 투오스레트의 가계와는 다른 별개의 가계를 통해 람세스 2세의 후손이었을 가능성이 높다.[4]

람세스 3세의 아버지 세트나크트는 이집트 제20왕조의 첫 번째 파라오였다. 제19왕조 붕괴 이후, 람세스의 아들인 람세스 4세가 편찬한 하리스 파피루스는 제19왕조가 외부로부터 붕괴되어 통일된 정권이 사라지고 각지에 군벌들이 할거하여 내전 상태에 빠졌으며, 서로 죽인 후 “팔레스타인 (시리아) 출신자”가 지배자가 되어 각국에 공물을 요구하고 남의 것을 빼앗았고, 신들을 인간과 똑같이 여겨 신전에 인신공양을 바치는 자가 없어졌다고 기술하고 있다.[58]

이 “팔레스타인 출신자”는 “이르수(Irsu)”라는 이름이었으나, 그 정체는 명확하지 않다. 독일의 역사가 필립 판덴베르크는 제19왕조 말기 파라오인 셉타와 투오스레트 시대에 권력을 잡았던 바이나 팔레스타인 출신 이집트 군 간부 등의 이름을 들며, 타니스에서 정권을 운영하고 있었다고 주장한다.[58]

세트나크트는 이르수를 토벌하고 파라오가 되었으나[59][60], 이미 고령이었던 탓에 그의 통치는 2년 만에 끝났다.[56] 람세스는 세트나크트의 공동 통치자였다.[61]

4. 즉위

람세스 3세는 기원전 1186년 3월부터 1155년 4월까지 통치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그의 즉위일이 1년째 수확기(Shemu) 26일이고, 사망일이 32년째 수확기(Shemu) 15일이라는 사실에 근거한다.[5] 일부 학자들은 그의 재위 기간을 31년 1개월 19일로 추정한다.[5] 그의 재위 기간에 대한 다른 주장으로는 기원전 1187년~1156년이 있다.

메디네트 하부(Medinet Habu)에 있는 그의 즉위식 묘사에 따르면, 네 마리의 비둘기가 "지평선의 네 귀퉁이로 보내져 살아있는 호루스(Horus), 람세스 3세가 여전히 왕좌를 차지하고 있으며, 마아트(Maat)의 질서가 우주와 사회에 만연해 있음을 확인했다"고 한다.[6][7]

5. 치세



"해양 민족"과 싸우는 람세스 3세 (메디네트 하부(Medinet Habu)의 레리에프에서).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의 주변 정치적 혼란 속에서, 람세스 3세의 치세 동안 이집트는 해양 민족과 리비아인을 포함한 외세의 침략을 받았다.

람세스 3세 즉위 8년차에, 펠레셋, 트제켈, 셰켈레시, 데니엔, 웨셰시 등 여러 민족으로 구성된 "해양 민족"이 레반트 지역에서 육지와 바다를 통해 이집트 영토로 침입했다.[64][65]

먼저 이집트군은 육로로 북동부 국경에 침입한 "해양 민족"의 군대를 격파했다.[64] 다음으로 바다에서 침입한 "해양 민족"의 군대에 대해 이집트 해군은 열악하다는 평판에도 불구하고 굳건히 싸웠다. 람세스 3세가 해전에서 취한 작전은 궁수들을 해안선에 배치하여 "해양 민족"이 나일강 연안에서 상륙하려 할 때 "해양 민족"의 군선을 향해 끊임없이 화살을 일제 사격하는 것이었다.[66] 또한 갤리선과 평저선 등을 나란히 배치하여 견고한 방어벽과 같은 진형을 구축하고, 그 배들의 선수에서 선미에 이르기까지 이집트 군인을 다수 승선시켰다.[67][68]

이집트 군선은 "해양 민족"의 군선을 갈고리로 끌어당겨 양군 병사들의 백병전 끝에 이집트군이 승리했다.[69] "해양 민족"이 화살 공격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던 것과 범선만 있던 "해양 민족"에 대해 이집트는 노를 갖추고 있어 자유롭게 배를 조종할 수 있었던 것이 이집트군 승리의 이유로 꼽힌다.[67]

해리스 파피루스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람세스 3세는 복종시킨 "해양 민족"을 가나안 남부에 정착시켜 "해양 민족"을 이집트에 편입시켰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가나안에 조금씩 "해양 민족"이 정착하기 시작하는 것을 막지 못한 람세스 3세가 자신의 정책으로 "해양 민족"을 통합했다고 주장하려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해양 민족" 포로 중 일부는 용병이 되어 셰르덴, 티레니아인 등에 정착했다. 또한 동방의 베두인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펠레셋인과 트제켈을 팔레스타인에 정착시켰다.[72][73] 이들 도시와 국가가 완충지대가 되어 이후 한동안 오리엔트와 지중해의 각 세력의 다툼으로부터 고대 이집트를 고립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74]

예루살렘 로크펠러 박물관에 있는 람세스 3세의 조각상


KV11의 벽화, 향을 바치는 람세스 3세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의 주변 정치적 혼란 속에서 람세스 3세는 리비아인의 침략을 받았다. 람세스 3세는 즉위 5년차와 11년차에 이집트 서부 델타에서 두 차례의 주요 원정에서 침입하는 리비아 부족민과 싸워야 했다.[12] 12세기 초 이집트는 키레나이카 부족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했다. 한때 이집트가 선택한 통치자는 메슈웨시, 리부, 소페드의 부족들을 (잠시) 통치했다.[13]

람세스 3세 재위 이전부터 리비아인들은 나일 강 삼각주 서부를 지배하고 있었다.[75] 그러나 람세스 3세는 리비아인들과 두 차례에 걸쳐 전쟁을 벌였다.[76] 재위 5년차에 일어난 첫 번째 전쟁은 람세스 3세가 리비아에 정치적으로 개입한 것이 발단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77] 이 전쟁에서 이집트는 리브, , 세페드(Seped) 등 여러 부족으로 구성된 리비아군에게 승리를 거두었고, 리비아군은 약 12,500명의 사망자와 약 1,000명의 포로를 냈다.[61][77]

하지만 이 전쟁 이후에도 리비아인들은 나일 강 삼각주 서부에 정착하여 삼각주 중부의 등을 공격하기에 이르렀다.[77] 참고로, 재위 11년차에 일어난 두 번째 전쟁 사이에 케페르(Keper)가 리비아의 모든 부족을 통일했다.[78][79][80]

두 번째 전쟁은 메슈웨슈인들이 나일 강 삼각주에 정착할 목적으로 침입한 것이 발단이 되었지만, 이집트군은 이 전쟁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리비아군은 2,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고, 케페르를 포함한 다수가 포로가 되었으며, 케페르의 아들이자 메슈웨슈의 수장이었던 메셰셰르(Meshesher)는 포로가 된 후 처형되었다.[72][78][79][80][81] 이후 리비아인들의 침입은 없어졌고, 국내의 리비아인들은 이집트의 용병으로서 체제에 편입되었다.[82]

람세스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는 잦은 전투로 인해 국고가 고갈되고 경제가 쇠퇴하면서 사회 불안을 겪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람세스 3세 재위 29년에 발생한 기록상 최초의 노동자 파업에서 잘 드러난다.[14] 당시 데이르 엘-메디나의 왕릉 건축가와 장인들에게 식량 배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14]

이는 대기 중 어떤 현상(아마도 헬카 3 화산 폭발)으로 인해 햇빛이 지면에 도달하는 양이 크게 줄어, 기원전 1140년까지 거의 20년 동안 전 세계 나무의 성장이 멈춘 것과 관련이 있다.[14] 그 결과, 람세스 6세와 7세 통치 기간 동안 곡물 가격은 크게 상승한 반면, 가금류와 노예 가격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15] 이러한 기온 저하는 람세스 3세의 말년에 영향을 미쳐 데이르 엘-메디나 지역 노동자들에게 꾸준한 곡물 배급을 제공하는 그의 능력을 저해했다.[14]

이러한 어려운 현실은 람세스의 공식 기념물에서는 완전히 무시된다. 그의 많은 기념물들은 그의 유명한 전임자 람세스 2세의 기념물을 모방하여 연속성과 안정성의 이미지를 제시한다. 그는 룩소르 신전과 카르나크의 이집트 신전에 중요한 증축 공사를 했으며, 메디넷 하부 신전에 있는 그의 장례 신전과 행정 단지는 이집트에서 가장 크고 잘 보존된 곳 중 하나이다. 그러나 람세스 시대의 불확실성은 후자를 둘러싸기 위해 건설된 대규모 요새에서 분명히 알 수 있다. 람세스 이전의 이집트 중심부에 있는 어떤 신전도 이러한 방식으로 보호될 필요가 없었다.

람세스 3세 재위 29년차 페레트(파종기) 2월 10일에 데이르 엘-메디나의 장인들은 파업에 돌입하여 낮에는 투트모세 3세 장례전당에 앉아 있다가 밤에 데이르 엘-메디나로 돌아갔다.[97] 그 다음날인 12일부터 파업 장소를 람세세움으로 변경했고, 같은 날 지난달 식량이 배급되었다.[97] 장인들은 이번 달 식량 배급도 요구하며 파업을 계속했고, 17일에 이번 달 식량이 지급되어 파업은 종료되었다.[97] 그 후에도 재위 29년차에 한 번 더(셰무(건기·수확기) 1월 13일), 재위 31년차에 한 번(페레트 2월 15일), 재위 32년차에 한 번(셰무 2월 29일)의 파업이 발생했다고 한다.[97]

해리스 파피루스/Papyrus Harris I영어에는 람세스 3세가 피람세스, 헬리오폴리스, 멤피스, 아스리비스, 헤르모폴리스, 질자, 아뷔도스, 퀴프트, 엘 카브 등 이집트 각지와 누비아 및 시리아 도시의 각 사원에 금으로 된 조각상과 기념비가 될 건축물 등 방대한 헌납물을 남겼다고 기록하고 있다.

람세스 3세는 테베(현: 룩소르)와 카르나크에 신전을 건축했다. 특히 카르나크에 있는 메디네트 하부(Medinet Habu (temple))라 불리는 람세스 3세의 장례전과 행정시설 기능을 겸비한 건축물은 아멘호테프 3세가 원래 신전으로 사용하던 것을 기반으로 콘스를 모시는 신전으로 건축이 시작되어 람세스 3세 재위 12년째에 완성되었다.[85]

메디네트 하부에는 "바다의 민족"과 리비아인과의 전투를 묘사한 레리에프가 새겨져 있으며, 신왕국 시대 유적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좋은 건축물 중 하나이다.[86]

람세스 3세 시대에 거행된 오펫 축제(Opet Festival)에서는 금으로 장식된 최고급 레바논 삼나무로 제작된 길이 67미터의 배가 사용되었다고 한다.[87]

람세스 3세는 아몬 사제, 사제, 프타 사제에게 곡물 100만 포대, 은 370킬로그램 상당을 봉납했다. 또한 세 사제단이 169개 도시, 500개의 영지, 50개의 조선소, 88척의 배, 50만 마리의 가축을 소유하고 있었다고 한다.[89] 그중 아몬 사제는 상술한 봉납물 중 62만 포대(62%)의 곡물, 318킬로그램(86%)의 은, 2104개의 경작지, 46개의 조선소, 83척의 배, 42만 마리의 가축을 받았고, 누비아 지방의 금광 채굴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아몬 신전 고관은 테베에 주둔하는 군대의 최고 사령관이기도 했다. 람세스 3세 재위 시 국가 재정은 이미 파탄 상태였으며, 이것이 후술하는 직공들의 파업의 요인 중 하나로 생각된다.[89][90]

람세스 3세의 부하로서 테베에서 세금을 담당했던 메리바스테트(Meribastet)가 이곳에서 세력을 키웠다. 그의 아들인 라메세스나흐트(Ramessesnakht)는 람세스 4세 시대에 아몬 신전의 대사제로 임명되었고, 메리바스테트의 일족이 대사제직을 세습하게 되었다. 이것이 후대의 아몬 대사제 국가의 성립으로 이어졌다.[91] 한편 람세스 3세는 고대 이집트 역사상 최초로 사제 계급의 영향 아래 놓인 파라오로 여겨진다.[88]

람세스 3세의 암살 시도는 왕실 하렘 음모에 의한 것으로, 기원전 1155년 세무 2개월 15일에 메디네트 하부에서 열린 축제 도중 발생했다.[103] 이 음모는 람세스 3세의 세 아내 중 한 명인 티예가 자신의 아들 펜타웨렛을 왕위에 올리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81][103] 람세스 3세는 티예의 아들 펜타웨렛 대신, 티티의 아들인 람세스 아멘헤르케프셰프(미래의 람세스 4세)를 후계자로 선택했었다.

파피루스 재판 기록에 따르면, 왕비 티예와 그녀의 아들 펜타웨렛, 람세스의 궁정 총무 페베카멘, 일곱 명의 왕실 집사, 두 명의 국고 감독관, 두 명의 군대 기수, 두 명의 왕실 서기관, 한 명의 전령 등 많은 사람들이 이 음모에 연루되었다.[99][100] 주요 음모자들은 모두 처형되었으며, 일부는 사형 대신 자살(아마도 독약)을 선택할 수 있었다.[18] 세 번의 별도 재판이 진행되어 총 38명이 사형 선고를 받았다.[109] 티예와 펜타웨렛의 무덤은 도굴당했고, 그들의 이름은 삭제되었다.[115][116]

오랫동안 람세스 3세의 시신에 명백한 상처가 없다고 믿어져 왔으나,[20] 2012년 영국 의학 저널에 게재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음모자들은 람세스 3세의 목을 베어 살해했다.[25][26][27] CT 스캔 결과, 그의 목에는 뼈까지 잘린 깊은 상처가 있었으며, 기관, 식도, 혈관이 절단되어 즉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5][24] 람세스 3세의 미라에는 왼쪽 엄지발가락이 잘린 흔적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여러 명의 범인이 각기 다른 무기를 사용해 공격했음을 시사한다.[29]

암살은 성공했지만, 왕위는 람세스 3세가 지정한 후계자인 람세스 4세에게 돌아갔다. 재판 기록에 따르면, 사건에 연루된 자들은 모두 그해 안에 처형되었다.[107][99][108]

5. 1. 전쟁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의 주변 정치적 혼란 속에서, 람세스 3세의 치세 동안 이집트는 해양 민족과 리비아인을 포함한 외세의 침략을 받았다.

고대 이집트 역사에 "해양 민족"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이집트 제19왕조의 메르넵타 재위 중이다. 비석에는 메르넵타 5년차에 "해양 민족"이 리비아인과 연합하여 리비아 해안에서 나일강 삼각주로 침입했지만 이집트 군이 이를 격퇴했다는 기록이 있다.

람세스 3세 즉위 8년차에, 펠레셋, 트제켈, 셰켈레시, 데니엔, 웨셰시 등 여러 민족으로 구성된 "해양 민족"이 레반트 지역에서 육지와 바다를 통해 이집트 영토로 침입했다.

먼저 이집트군은 육로로 북동부 국경에 침입한 "해양 민족"의 군대를 격파했다. 다음으로 바다에서 침입한 "해양 민족"의 군대에 대해 이집트 해군은 열악하다는 평판에도 불구하고 굳건히 싸웠다. 람세스 3세가 해전에서 취한 작전은 궁수들을 해안선에 배치하여 "해양 민족"이 나일강 연안에서 상륙하려 할 때 "해양 민족"의 군선을 향해 끊임없이 화살을 일제 사격하는 것이었다. 또한 갤리선과 평저선 등을 나란히 배치하여 견고한 방어벽과 같은 진형을 구축하고, 그 배들의 선수에서 선미에 이르기까지 이집트 군인을 다수 승선시켰다.

이집트 군선은 "해양 민족"의 군선을 갈고리로 끌어당겨 양군 병사들의 백병전 끝에 이집트군이 승리했다. "해양 민족"이 화살 공격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던 것과 범선만 있던 "해양 민족"에 대해 이집트는 노를 갖추고 있어 자유롭게 배를 조종할 수 있었던 것이 이집트군 승리의 이유로 꼽힌다.

해리스 파피루스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람세스 3세는 복종시킨 "해양 민족"을 가나안 남부에 정착시켜 "해양 민족"을 이집트에 편입시켰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가나안에 조금씩 "해양 민족"이 정착하기 시작하는 것을 막지 못한 람세스 3세가 자신의 정책으로 "해양 민족"을 통합했다고 주장하려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해양 민족" 포로 중 일부는 용병이 되어 셰르덴, 티레니아인 등에 정착했다. 또한 동방의 베두인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펠레셋인과 트제켈을 팔레스타인에 정착시켰다. 이들 도시와 국가가 완충지대가 되어 이후 한동안 오리엔트와 지중해의 각 세력의 다툼으로부터 고대 이집트를 고립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

5. 1. 1. 바다 민족과의 전쟁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의 주변 정치적 혼란 속에서, 람세스 3세의 치세 동안 이집트는 해양 민족과 리비아인을 포함한 외세의 침략을 받았다.

고대 이집트 역사에 "해양 민족"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이집트 제19왕조의 메르넵타 재위 중이다. 비석에는 메르넵타 5년차에 "해양 민족"이 리비아인과 연합하여 리비아 해안에서 나일강 삼각주로 침입했지만 이집트 군이 이를 격퇴했다는 기록이 있다.[62]

람세스 3세 즉위 8년차에, 펠레셋, 트제켈, 셰켈레시, 데니엔, 웨셰시 등 여러 민족으로 구성된 "해양 민족"이 레반트 지역에서 육지와 바다를 통해 이집트 영토로 침입했다.[64][65]

먼저 이집트군은 육로로 북동부 국경에 침입한 "해양 민족"의 군대를 격파했다.[64] 다음으로 바다에서 침입한 "해양 민족"의 군대에 대해 이집트 해군은 열악하다는 평판에도 불구하고 굳건히 싸웠다. 람세스 3세가 해전에서 취한 작전은 궁수들을 해안선에 배치하여 "해양 민족"이 나일강 연안에서 상륙하려 할 때 "해양 민족"의 군선을 향해 끊임없이 화살을 일제 사격하는 것이었다.[66] 또한 갤리선과 평저선 등을 나란히 배치하여 견고한 방어벽과 같은 진형을 구축하고, 그 배들의 선수에서 선미에 이르기까지 이집트 군인을 다수 승선시켰다.[67][68]

이집트 군선은 "해양 민족"의 군선을 갈고리로 끌어당겨 양군 병사들의 백병전 끝에 이집트군이 승리했다.[69] "해양 민족"이 화살 공격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던 것과 범선만 있던 "해양 민족"에 대해 이집트는 노를 갖추고 있어 자유롭게 배를 조종할 수 있었던 것이 이집트군 승리의 이유로 꼽힌다.[67]

해리스 파피루스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람세스 3세는 복종시킨 "해양 민족"을 가나안 남부에 정착시켜 "해양 민족"을 이집트에 편입시켰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가나안에 조금씩 "해양 민족"이 정착하기 시작하는 것을 막지 못한 람세스 3세가 자신의 정책으로 "해양 민족"을 통합했다고 주장하려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해양 민족" 포로 중 일부는 용병이 되어 셰르덴, 티레니아인 등에 정착했다. 또한 동방의 베두인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펠레셋인과 트제켈을 팔레스타인에 정착시켰다.[72][73] 이들 도시와 국가가 완충지대가 되어 이후 한동안 오리엔트와 지중해의 각 세력의 다툼으로부터 고대 이집트를 고립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었다.[74]

5. 1. 2. 리비아인과의 전쟁



후기 청동기 시대 붕괴의 주변 정치적 혼란 속에서 람세스 3세는 리비아인의 침략을 받았다. 람세스 3세는 즉위 5년차와 11년차에 이집트 서부 델타에서 두 차례의 주요 원정에서 침입하는 리비아 부족민과 싸워야 했다.[12] 12세기 초 이집트는 키레나이카 부족에 대한 지배권을 주장했다. 한때 이집트가 선택한 통치자는 메슈웨시, 리부, 소페드의 부족들을 (잠시) 통치했다.[13]

람세스 3세 재위 이전부터 리비아인들은 나일 강 삼각주 서부를 지배하고 있었다.[75] 그러나 람세스 3세는 리비아인들과 두 차례에 걸쳐 전쟁을 벌였다.[76] 재위 5년차에 일어난 첫 번째 전쟁은 람세스 3세가 리비아에 정치적으로 개입한 것이 발단이 된 것으로 여겨진다.[77] 이 전쟁에서 이집트는 리브, , 세페드(Seped) 등 여러 부족으로 구성된 리비아군에게 승리를 거두었고, 리비아군은 약 12,500명의 사망자와 약 1,000명의 포로를 냈다.[61][77]

하지만 이 전쟁 이후에도 리비아인들은 나일 강 삼각주 서부에 정착하여 삼각주 중부의 등을 공격하기에 이르렀다.[77] 참고로, 재위 11년차에 일어난 두 번째 전쟁 사이에 케페르(Keper)가 리비아의 모든 부족을 통일했다.[78][79][80]

두 번째 전쟁은 메슈웨슈인들이 나일 강 삼각주에 정착할 목적으로 침입한 것이 발단이 되었지만, 이집트군은 이 전쟁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리비아군은 2,0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고, 케페르를 포함한 다수가 포로가 되었으며, 케페르의 아들이자 메슈웨슈의 수장이었던 메셰셰르(Meshesher)는 포로가 된 후 처형되었다.[72][78][79][80][81] 이후 리비아인들의 침입은 없어졌고, 국내의 리비아인들은 이집트의 용병으로서 체제에 편입되었다.[82]

5. 2.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 불안

람세스 3세의 통치 기간 동안 이집트는 잦은 전투로 인해 국고가 고갈되고 경제가 쇠퇴하면서 사회 불안을 겪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람세스 3세 재위 29년에 발생한 기록상 최초의 노동자 파업에서 잘 드러난다.[14] 당시 데이르 엘-메디나의 왕릉 건축가와 장인들에게 식량 배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14]

이는 대기 중 어떤 현상(아마도 헬카 3 화산 폭발)으로 인해 햇빛이 지면에 도달하는 양이 크게 줄어, 기원전 1140년까지 거의 20년 동안 전 세계 나무의 성장이 멈춘 것과 관련이 있다.[14] 그 결과, 람세스 6세와 7세 통치 기간 동안 곡물 가격은 크게 상승한 반면, 가금류와 노예 가격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15] 이러한 기온 저하는 람세스 3세의 말년에 영향을 미쳐 데이르 엘-메디나 지역 노동자들에게 꾸준한 곡물 배급을 제공하는 그의 능력을 저해했다.[14]

이러한 어려운 현실은 람세스의 공식 기념물에서는 완전히 무시된다. 그의 많은 기념물들은 그의 유명한 전임자 람세스 2세의 기념물을 모방하여 연속성과 안정성의 이미지를 제시한다. 그는 룩소르 신전과 카르나크의 이집트 신전에 중요한 증축 공사를 했으며, 메디넷 하부 신전에 있는 그의 장례 신전과 행정 단지는 이집트에서 가장 크고 잘 보존된 곳 중 하나이다. 그러나 람세스 시대의 불확실성은 후자를 둘러싸기 위해 건설된 대규모 요새에서 분명히 알 수 있다. 람세스 이전의 이집트 중심부에 있는 어떤 신전도 이러한 방식으로 보호될 필요가 없었다.

람세스 3세 재위 29년차 페레트(파종기) 2월 10일에 데이르 엘-메디나의 장인들은 파업에 돌입하여 낮에는 투트모세 3세 장례전당에 앉아 있다가 밤에 데이르 엘-메디나로 돌아갔다.[97] 그 다음날인 12일부터 파업 장소를 람세세움으로 변경했고, 같은 날 지난달 식량이 배급되었다.[97] 장인들은 이번 달 식량 배급도 요구하며 파업을 계속했고, 17일에 이번 달 식량이 지급되어 파업은 종료되었다.[97] 그 후에도 재위 29년차에 한 번 더(셰무(건기·수확기) 1월 13일), 재위 31년차에 한 번(페레트 2월 15일), 재위 32년차에 한 번(셰무 2월 29일)의 파업이 발생했다고 한다.[97]

5. 3. 건축 사업



해리스 파피루스/Papyrus Harris I영어에는 람세스 3세가 피람세스, 헬리오폴리스, 멤피스, 아스리비스, 헤르모폴리스, 질자, 아뷔도스, 퀴프트, 엘 카브 등 이집트 각지와 누비아 및 시리아 도시의 각 사원에 금으로 된 조각상과 기념비가 될 건축물 등 방대한 헌납물을 남겼다고 기록하고 있다.

람세스 3세는 테베(현: 룩소르)와 카르나크에 신전을 건축했다. 특히 카르나크에 있는 메디네트 하부(Medinet Habu (temple))라 불리는 람세스 3세의 장례전과 행정시설 기능을 겸비한 건축물은 아멘호테프 3세가 원래 신전으로 사용하던 것을 기반으로 콘스를 모시는 신전으로 건축이 시작되어 람세스 3세 재위 12년째에 완성되었다.[85]

메디네트 하부에는 "바다의 민족"과 리비아인과의 전투를 묘사한 레리에프가 새겨져 있으며, 신왕국 시대 유적 중 보존 상태가 가장 좋은 건축물 중 하나이다.[86]

람세스 3세 시대에 거행된 오펫 축제(Opet Festival)에서는 금으로 장식된 최고급 레바논 삼나무로 제작된 길이 67미터의 배가 사용되었다고 한다.[87]

람세스 3세는 아몬 사제, 사제, 프타 사제에게 곡물 100만 포대, 은 370킬로그램 상당을 봉납했다. 또한 세 사제단이 169개 도시, 500개의 영지, 50개의 조선소, 88척의 배, 50만 마리의 가축을 소유하고 있었다고 한다.[89] 그중 아몬 사제는 상술한 봉납물 중 62만 포대(62%)의 곡물, 318킬로그램(86%)의 은, 2104개의 경작지, 46개의 조선소, 83척의 배, 42만 마리의 가축을 받았고, 누비아 지방의 금광 채굴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아몬 신전 고관은 테베에 주둔하는 군대의 최고 사령관이기도 했다. 람세스 3세 재위 시 국가 재정은 이미 파탄 상태였으며, 이것이 후술하는 직공들의 파업의 요인 중 하나로 생각된다.[89][90]

람세스 3세의 부하로서 테베에서 세금을 담당했던 메리바스테트(Meribastet)가 이곳에서 세력을 키웠다. 그의 아들인 라메세스나흐트(Ramessesnakht)는 람세스 4세 시대에 아몬 신전의 대사제로 임명되었고, 메리바스테트의 일족이 대사제직을 세습하게 되었다. 이것이 후대의 아몬 대사제 국가의 성립으로 이어졌다.[91] 한편 람세스 3세는 고대 이집트 역사상 최초로 사제 계급의 영향 아래 놓인 파라오로 여겨진다.[88]

5. 4. 암살

람세스 3세의 암살 시도는 왕실 하렘 음모에 의한 것으로, 기원전 1155년 세무 2개월 15일에 메디네트 하부에서 열린 축제 도중 발생했다.[103] 이 음모는 람세스 3세의 세 아내 중 한 명인 티예가 자신의 아들 펜타웨렛을 왕위에 올리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81][103] 람세스 3세는 티예의 아들 펜타웨렛 대신, 티티의 아들인 람세스 아멘헤르케프셰프(미래의 람세스 4세)를 후계자로 선택했었다.

파피루스 재판 기록에 따르면, 왕비 티예와 그녀의 아들 펜타웨렛, 람세스의 궁정 총무 페베카멘, 일곱 명의 왕실 집사, 두 명의 국고 감독관, 두 명의 군대 기수, 두 명의 왕실 서기관, 한 명의 전령 등 많은 사람들이 이 음모에 연루되었다.[99][100] 주요 음모자들은 모두 처형되었으며, 일부는 사형 대신 자살(아마도 독약)을 선택할 수 있었다.[18] 세 번의 별도 재판이 진행되어 총 38명이 사형 선고를 받았다.[109] 티예와 펜타웨렛의 무덤은 도굴당했고, 그들의 이름은 삭제되었다.[115][116]

오랫동안 람세스 3세의 시신에 명백한 상처가 없다고 믿어져 왔으나,[20] 2012년 영국 의학 저널에 게재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음모자들은 람세스 3세의 목을 베어 살해했다.[25][26][27] CT 스캔 결과, 그의 목에는 뼈까지 잘린 깊은 상처가 있었으며, 기관, 식도, 혈관이 절단되어 즉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5][24] 람세스 3세의 미라에는 왼쪽 엄지발가락이 잘린 흔적도 발견되었는데, 이는 여러 명의 범인이 각기 다른 무기를 사용해 공격했음을 시사한다.[29]

암살은 성공했지만, 왕위는 람세스 3세가 지정한 후계자인 람세스 4세에게 돌아갔다. 재판 기록에 따르면, 사건에 연루된 자들은 모두 그해 안에 처형되었다.[107][99][108]

6. 성경과의 연관성

멘프레드 비탁 교수와 게리 A. 렌즈버그 교수는 출애굽기의 파라오를 람세스 3세로 보고 있다.[142] 이들은 초기 이스라엘인들의 유전자 풀에 포함되는 에돔(또는 세일)의 샤수(Shasu)들이 해리스 파피루스에서 람세스 3세에 의해 이집트로 포로로 끌려갔다는 것을 근거로, 이들이 가나안에 있던 이스라엘 족속에게 탈출기 전승을 가지고 왔을 것이라고 주장했다.[142] 람세스 3세의 메디넷 하부(Medinet Habu) 신전에서 이스라엘 출신의 노동자가 세운 집이 발견되었는데, 렌즈버그 교수는 이를 근거로 람세스 3세 또는 람세스 4세의 치세 시절 당시 이스라엘인이 애굽에서 노예로서 있었음을 입증한다고 주장했다.[142]

7. 유산

람세스 3세의 업적은 그의 아들 람세스 4세가 제작을 의뢰한 파피루스 하리스 1번에 기록되어 있다.[35] 이 파피루스에는 람세스 3세가 피람세스, 헬리오폴리스, 멤피스, 아트리비스, 헤르모폴리스, 티니스, 아비도스, 콥토스, 엘 카브와 누비아의 여러 도시에 토지, 금으로 만든 조각상, 그리고 거대한 건축물을 막대한 양으로 기증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35] 또한 푼트 지방으로 무역 원정을 보내고 남부 가나안의 팀나 구리 광산을 채굴한 내용도 담겨 있다.[35] 파피루스 하리스 1번에 기록된 람세스 3세의 활동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메디네트 하부 사원의 람세스 3세 부조


람세스 3세는 카르나크의 콘수 신전을 아멘호테프 3세의 이전 신전 기초 위에 재건축을 시작하였고, 그의 즉위 12년경에 메디네트 하부 사원을 완공하였다.[36] 그는 메디네트 하부 사원 벽에 해양 민족과의 해상 및 육상 전투 장면을 장식하였다.[37] 이 기념물은 오늘날 신왕국 시대의 가장 잘 보존된 사원 중 하나로 남아 있다.[37]

람세스 3세의 미라는 1886년 고고학자들에 의해 발견되었으며,[38] 1881년 프랑스의 이집트 고고학 연구소(Institut Français d'Archéologie Orientale)의 최고 책임자였던 가스통 마스페로의 지시를 받은 에밀 브루슈(Émile Brugsch)에 의해 델엘바하리(Deir el-Bahari)의 DB320에서 발견되었다.[121][122] DB320에서는 람세스 3세 외에도 투트모세스 3세와 람세스 2세 등의 미라도 동시에 발견되었다.[123] 람세스 3세 등의 미라가 왕가의 계곡에서 옮겨진 이유로는, 제20왕조 말기에 권력을 다투던 피안키(Piankh)(아멘 대사제 국가 제2대 대사제)가 적대하던 파네헤시(Pinehesy)(누비아 총독)와 헤리호르(Herihor)(아멘 대사제 국가 초대 대사제)에 대항하여 자신의 권력 기반을 굳히기 위한 군자금으로 왕가의 계곡의 보물을 조직적으로 도굴했던 것이 거론된다.[123] 최종적으로 제22왕조의 시삭 1세에 의해 DB320으로 옮겨졌다.[121]

1980년 제임스 해리스와 에드워드 F. 웬트는 람세스 3세의 미라 유골을 포함한 일련의 X선 검사를 실시했다.[39] 이 분석은 일반적으로 제19왕조제20왕조의 신왕국 통치자들과 중석기 시대 누비아 표본 사이에 강한 유사성을 발견했다.[39] 저자들은 또한 레반트 기원의 현대 지중해 인구와의 유사성을 언급했다.[39] 해리스와 웬트는 람세스 왕가가 북부 기원이었기 때문에 이것은 혼혈을 나타낸다고 제안했다.[39]

람세스 3세의 미라는 「미라의 부활」(1932년) 등 많은 할리우드 영화에서 대표적인 이집트 미라의 모델로 활용되었다.[117][124] 또한, 다른 미라와 달리 눈꺼풀이 제거되었고, 안와에는 삼베가 채워져 있어, 실제로 미라를 보면 상당히 기이한 표정을 하고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그의 무덤(KV11)은 왕가의 계곡에서 가장 큰 무덤 중 하나이다. 2021년 4월, 그의 미라는 다른 17명의 왕과 4명의 여왕의 미라와 함께 이집트 고대 유물 박물관에서 이집트 문명 국립 박물관으로 옮겨졌는데, 이 행사는 파라오의 황금 퍼레이드로 불렸다.[40] 2021년 4월 3일, 이집트 고고학 박물관에서 같은 해에 개관한 국립 이집트 문명 박물관으로 람세스 3세를 포함한 22구의 미라가 수백만 달러를 들여 "파라오의 황금 퍼레이드 (The Pharaohs' Golden Parade)"라는 제목으로 이전되었다.[125][126]

참조

[1] 서적 The Art of Ancient Egypt
[2] 논문 Ramses III and the Sea Peoples: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Medinet Habu Inscriptions https://www.jstor.or[...] 1988-01-01
[3]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2021-01-01
[4] 서적 Poisoned Legacy The Fall of the Nineteenth Egyptian Dynasty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2010-01-01
[5] 서적 A Chronology of the New Kingdom Studies in Honor of George R. Hughes 1976-01-01
[6] 서적 United with Eternity: A Concise Guide to the Monuments of Medinet Habu Oriental Institute, Chicago /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1980-01-01
[7] 서적 Wisdom, Gods and Literature: Studies in Assyriology in Honour of W.G. Lambert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2000-01-01
[8] 논문 Merenptah's Inscription and Reliefs and the Origin of Israel 2003-01-01
[9] 논문 The levantine war-records of Ramesses III : changing attitudes, past, present and future 2017-01-01
[10] 서적 Ramesses III: The Life and Times of Egypt's Last Hero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2-01-01
[11] 논문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 Topographical List of Ramesses III 2016-01-01
[12]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Books 1992-01-01
[13] 웹사이트 Expedition Magazine - Penn Museum https://www.penn.mus[...]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2022-08-04
[14] 논문 The Strikes in Ramses III's Twenty-Ninth Year 1951-07-01
[15] 서적 End of the Late Bronze Age and Other Crisis Periods: A Volcanic Cause Gold of Praise: Studies on Ancient Egypt in Honor of Edward F. Wente 1999-01-01
[16]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17]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18]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19] 서적 Chronicle of the Queens of Egypt Thames & Hudson 2006-10-01
[20]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1-01
[21] 서적 Thebes in Egypt A Guide to the Tombs and Temples of Ancient Luxor Cornell University Press 1999-01-01
[22]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23] 뉴스 Egyptologist: Ramses III assassinated in coup attempt https://www.usatoday[...] 2012-12-17
[24] 서적 Scanning the Pharaohs : CT Imaging of the New Kingdom Royal Mummies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016-01-01
[25] 논문 Revisiting the harem conspiracy and death of Ramesses III: anthropological, forensic, radiological, and genetic study http://www.bmj.com/c[...] 2012-12-17
[26] 뉴스 King Ramesses III's throat was slit, analysis reveals https://www.bbc.co.u[...] 2012-12-18
[27] 뉴스 Study reveals that Pharaoh’s throat was cut during royal coup http://www.bmj.com/p[...] 2012-12-17
[28] 뉴스 Pharaoh's murder riddle solved after 3,000 years https://www.telegrap[...] 2012-12-18
[29] 뉴스 Pharaoh Ramesses III Killed by Multiple Assailants, Radiologist Says http://www.livescien[...] 2012-12-17
[30]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31]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32] 논문 Revisiting the harem conspiracy and death of Ramesses III: anthropological, forensic, radiological, and genetic study https://www.research[...] 2012-01-01
[33] 논문 Ancestry and Pathology in King Tutankhamun's Family https://doi.org/10.1[...] 2010-02-17
[34] 웹사이트 Ideas about "Race" in Nile Valley Histories: A Consideration of "Racial" Paradigms in Recent Presentations on Nile Valley Africa, from "Black Pharaohs" to Mummy Genomest https://egyptianexpe[...] 2022-09-01
[35] 서적 The Reign of Ramesses IV Aris & Phillips Ltd 1994-01-01
[36] 서적 The Amarna Period and the later New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37] 서적
[38] 서적 The Encyclopedia of Mummies Checkmark Books
[39] 서적 An X-ray atlas of the royal mumm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40] 뉴스 22 Ancient Pharaohs Have Been Carried Across Cairo in an Epic 'Golden Parade' https://www.sciencea[...] 2021-04-05
[41] 학술지 The emergence of the Philistine material culture
[42] 학술지 Testing the Limits: Radiocarbon dating and the end of the Late Bronze Age https://journals.uai[...] 2014-10-16
[43] 서적 End of the Late Bronze Age and Other Crisis Periods: A Volcanic Cause
[44] 웹사이트 TOWARDS A HOLOCENE TEPHROCHRONOLOGY FOR SWEDEN http://gsa.confex.co[...] 2003-07-26
[45] 학술지 Two Tephra Layers Bracketing Late Holocene Paleoecological Changes in Northern Germany
[46] 문서 Rulers with names in italics are considered fictional.
[47] 서적 The Ancient Near East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48] 웹사이트 Rulers of Mesopotamia http://cdli.ox.ac.uk[...] University of Oxford, CNRS
[49] 서적 Mesopotamia: Civilization Begins https://books.google[...] Getty Publications 2020
[50] 서적 Ancient Iraq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1992
[51] 문서 Sumerian King List
[52] 서적 Israel and the Aramaeans of Damascus: A Study in Archaeological Illumination of Bible Histor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53] 문서 ヴェルクテール
[54] 뉴스 3千年の謎解ける、ラムセス3世の死因は喉を切られての暗殺 https://www.cnn.co.j[...] CNN 2015-04-03
[55] 서적 A Chronology of the New Kingdom
[56] 문서 大貫
[57] 문서 クレイトン
[58] 문서 ファンデンベルク
[59] 문서 山花
[60] 문서 内田
[61] 문서 クレイトン
[62] 문서 内田
[63] 문서 小川
[64] 문서 ウィルキンソン
[65] 문서 大貫
[66] 문서 クレイトン
[67] 문서 カーソン
[68] 문서 歴史学研究会
[69] 문서 クレイトン
[70] 서적 Merenptah's Inscription and Reliefs and the Origin of Israel
[71] 서적 カーソン
[72] 서적 大貫
[73] 서적 山花
[74] 서적 小川
[75] 서적 ファンデンベルク
[7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Egypt Blackwell Books 1992
[77] 서적 大貫
[78] 서적 ヴェルクテール
[79] 서적 Bunson
[80] 서적 Breasted
[81] 서적 ノイバート
[82] 서적 ヴェルクテール
[83] 서적 大貫
[84] 서적 The Reign of Ramesses IV Aris & Phillips Ltd 1994
[85] 서적 The Amarna Period and the later New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86]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Ancient Egypt
[87] 서적 山花
[88] 서적 ファンデンベルク
[89] 서적 ファンデンベルク
[90] 서적 ノイバート
[91] 서적 山花
[92] 서적 大貫
[93] 논문 The Strikes in Ramses III's Twenty-Ninth Year 1951-07
[94] 서적 ティルディスレイ
[95] 서적 金関
[96] 서적 歴史学研究会
[97] 서적 大貫
[98] 서적
[99]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100]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101] 서적 大貫
[102]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103] 뉴스 古代エジプトの王殺し、科学技術で3000年の謎解ける https://www.afpbb.co[...] 프랑스 통신사 (AFP) 2012-12-19
[104] 뉴스 パピルスに書かれたミステリーのDNA鑑定[エッセイ] https://www.jmedj.co[...] 日本医事新報 2019-01-20
[105] 뉴스 ラムセス3世は暗殺された http://jp.sciencenew[...] ScienceNewslineline 2012-12-18
[106] 뉴스 ラムセス3世は首切られ暗殺か、ミイラに傷見つかる https://jp.reuters.c[...] トムソン・ロイター 2012-12-19
[107] 뉴스 Pharaoh Ramesses III Killed by Multiple Assailants, Radiologist Says http://www.livescien[...] LiveScience 2016-03-21
[108]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109] 서적 Chronicle of the Queens of Egypt Thames & Hudson 2006-10
[110]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111] 문서 ドドソン
[112] 뉴스 Mystery of the screaming mummy http://www.dailymail[...] デイリー・メール 2008-11-10
[113] 뉴스 エジプト考古学博物館、「叫ぶミイラ」公開 ファラオ暗殺を企てた王子 https://www.afpbb.co[...] フランス通信社 (AFP) 2018-02-18
[114] 뉴스 古代エジプト埋葬文化の周縁1-ナイル川と死者- https://www.isan-no-[...] デイリー・メール 2016-01-13
[115] 문서 スペンサー0906
[116] 서적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17] 문서 ティルディスレイ
[118] 문서 クレイトン
[119] 서적 Ancient Records of Egypt
[120] 문서 金関
[121] 문서 山花
[122] 문서 スペンサー0910
[123] 문서 山花
[124] 서적 The Encyclopedia of Mummies Checkmark Books 1998
[125] 뉴스 ファラオのミイラがパレード、新博物館へ移動 エジプト https://www.bbc.com/[...] BBC 2021-04-04
[126] 뉴스 エジプト / 「国立文明博物館」視察レポート https://www.otoa.com[...] 日本海外ツアーオペレーター協会 2021-04-30
[127] 논문 Revisiting the harem conspiracy and death of Ramesses III: anthropological, forensic, radiological, and genetic study http://www.bmj.com/c[...] 2012-12-17
[128] 문서 ドドソン
[129] 문서 ドドソン
[130] 문서 松平
[131] 문서 ラカリエール
[132] 문서 松平
[133] 서적 歴史 wikisource:History o[...]
[134] 논문 The emergence of the Philistine material culture http://www.jstor.org[...] 1985
[135] 논문 Testing the Limits: Radiocarbon dating and the end of the Late Bronze Age https://journals.uai[...] 2006
[136] 문서 田家
[137] 논문 End of the Late Bronze Age and Other Crisis Periods: A Volcanic Cause 1999
[138] 논문 TOWARDS A HOLOCENE TEPHROCHRONOLOGY FOR SWEDEN http://gsa.confex.co[...] 2003-07-26
[139] 논문 Two Tephra Layers Bracketing Late Holocene Paleoecological Changes in Northern Germany 2002
[140] 웹사이트 ラメセス3世の石棺の桶 http://www.louvre.fr[...] ルーブル美術館
[141] 논문 Ramses III and the Sea Peoples: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Medinet Habu Inscriptions https://www.jstor.or[...] 1988
[142] 서적 On the Historicity of the Exodus: What Egyptology Today Can Contribute to Assessing the Biblical Account of the Sojourn in Egypt Springer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